728x90
Today I Learned
학습
- 백준 1000번 A+B 문제풀이
- 암시적 형변환에 대하여 학습하였다.
- 백준 1001번 A-B 문제풀이
- process: 현재 실행되고 있는 노드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
- process.platform: 운영체제의 플랫폼 정보(ex: win32, linux, darwin).
- 화살표 함수 내에서 중괄호와 return 생략 할 시 표현식에 세미콜론을 붙이면 안된다.참고
- 백준 2588번 문제풀이
- String과 toString의 차이점에 대해 배웠다. 둘다 문자열로 변환함은 동일, toString은 진수 변환 가능(기본값: 10진수).
- 문자열은 인덱스로 문자열 내 특정 요소에 접근 가능함.
- 백준 14681번 문제풀이
- 여기서부터 if문 문제들에서 fs모듈이 런타임 오류가 나서 readline 모듈로 입력을 받아야 했다.
Review
- 문자열이 객체라는게 아직 잘 이해가 안된다. 원시타입과 래퍼 객체에 대해 공부해야 할 것 같다. 참고
정리
화살표 함수 de-construction
// 헷갈렸던 코드 input = input.split(' ').map((item) => +item); //설명 (params) => { return expression; } // 이 코드를 분해하면 아래처럼 된다. (params) => expression // 잘못된 경우 (params) => expression; // console.log(a;) 한 것과 똑같음.
- readline 모듈로 백준 입력받기
const readline = require('readline'); const rl = readline.createInterface({ input: process.stdin, output: process.stdout, }); let input = []; rl.on('line', function (line) { // 프로그램 실행시 할 동작 input.push(line); }).on('close', function () { // 프로그램 종료시 할 동작 input = input.map((item) => +item); solution(input[0], input[1]); process.exit(); // 종료 });
728x90
'기록 >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22.03.05 토 (0) | 2022.03.05 |
---|---|
TIL- 22.03.04 금 (0) | 2022.03.04 |
TIL- 22.02.27 일 (0) | 2022.02.27 |
TIL- 22.02.26 토 (0) | 2022.02.26 |
TIL- 22.02.23 수 (0) | 2022.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