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sk
- 기술면접 질문 공부하고 답변 정리, 문서화
1. Done
1.1 기술면접 답변 정리
질문: 스코프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스코프란 식별자의 유효범위를 말합니다. 모든 식별자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자신을 참조할 수 있는 유효범위가 결정됩니다. 예를들어, 함수의 매개변수는 함수 몸체 내부에서만 참조가 가능하며 함수 몸체 외부에서는 참조가 불가능합니다. 이 경우 매개변수의 스코프, 즉 유효범위는 함수 몸체 내부가 됩니다.
스코프는 크게 전역 스코프(Global Scope), 지역 스코프(Local Scope) 두 종류로 나뉩니다. 변수를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전역에서 선언된 변수는 전역이 유효범위인 전역 변수이며, 지역에서 선언된 변수는 지역 스코프의 지역 변수가 됩니다.
지역 스코프의 경우 세부적으로 Function level Scope, Block level Scope 두 가지로 나뉩니다. Function level Scope는 스코프의 범위가 함수 몸체 내부인 경우를 말하며, Block level Scope는 스코프의 범위가 if문, for문, while문 등의 코드블럭 내부인 경우를 말합니다.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함수 레벨 스코프(Function level Scope) 입니다. 따라서 선언된 위치가 함수 내부일 경우에만 함수 스코프의 지역 변수가 되고 그 외의 경우 전역 스코프인 전역 변수가 됩니다.
ES6에서 새로 등장한 키워드인 let과 const로 선언된 변수는 블록 레벨 스코프(Block level Scope)의 유효범위를 갖습니다. 따라서 if문, for문, while문, 브라켓({}) 등 코드블럭 내에서 선언될 경우 해당 코드블럭 내에서만 접근이 유효합니다.
2. Todo
- 스코프 꼬리질문 답변 정리
- 프로그래머스 0단계 문제풀이
- 차주 시간계획 수립
'기록 >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0.25 TIL (0) | 2022.10.25 |
---|---|
22.10.24 TIL (0) | 2022.10.24 |
TIL 220416 (0) | 2022.04.17 |
TIL 220408 (0) | 2022.04.08 |
TIL 220406 (0) | 2022.04.06 |